“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뛰어난 배우들의 연기로 큰 주목을 받는 작품이다. 특히 이병헌의 연기는 작품의 핵심을 이끌어가는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영탁은 황궁 아파트의 임시 주민대표를 맡아 단호한 결단력과 행동력으로 역할을 수행해 나간다. 특히 “세상이 나한테만 지랄이야 했는데 그게 다 자산이더라” 라는 대사가 영탁이라는 인물을 한 마디로 요약한다.
지진으로 대부분의 아파트가 무너지고 서울을 폐허가 되었다. 전기, 수도 가스 등 모든 게 끊어지고 치안은 물론 도시의 기능은 마비 되어 무정부 상태로 방치 된다. 그들은 생존을 위해 아파트 주민이 아닌 사람들을 밖으로 내보내기에 이른다.
평범한 사람 있지만, 모든 것을 잃고 황궁 아파트에 오게 된다는 내용이 긴 서사 없이도 충분히 캐릭터를 설명하고 있다. 영탁은 어두운 과거를 청산하고 그곳에서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생존을 위해 싸우는 장면과 죽음을 직면하는 위기 앞에서 극적인 군중심리를 이끌어간다. 거기에 상황과는 너무 다른 항상 말짱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부녀회장 김선영의 캐릭터도 순간순간 공포를 진정시키는 안정제와 맛깔스런 조미료 구실을 하고 있다.
민성 역으로 등장한 박서준은 성실한 공무원에서 위기 상황에 맞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실적이면서도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다양한 감정 표현은 작품의 장면들을 더욱 잔혹하게 만들어냈다. 한편 민성의 아내 명화의 간호사다운 따뜻한 인성과 강인함이 사건의 전환을 맞고 결말을 이끌어낸다. 민성이 부상당한 채로 탈출에 성공하지만 민성은 죽음을 맞게 되고 명화는 다른 사람들에 이끌려 새 삶을 찾는다.
결국 콘크리트는 유토피아가 될 수 없다는 암시를 깔고 영화는 시작된다. 고급 빌라에서 임대아파트 아이들이 놀이터에 들어오거나 한국이 같은 것도 싫어한다는 얘기는 새로울 것도 없다. 지금 우리에게 영화와 같은 재난이 닥친다면 우리는 영탁이 주는 안전과 명화의 온정을 놓고 고민할 것도 없이 대부분 영탁을 택할지도 모른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명화가 민성과 마지막 밤을 보낸 아침, 스테인글라스를 통해 들어온 아름다운 빛은 그녀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준다. 오물이 잔뜩 묻은 손에 주어진 주먹밥처럼 띠뜻한 온정은 황궁아파트에서 보여주는 집단이기주의 결말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관객들에게 답변을 요구한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curated by @r2cornell, a curating account for @R2cornell's Discord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