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도 정말 오래 오래 전에 공부했던 건데 다시 리마인드해봅니다.
GDP(국내총생산)의 정의
GDP(Gross Domestic Product)는 어떤 기간 동안 한 나라의 영토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화와 서비스의 총시장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한 국가의 경제 규모와 생산력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 경제 성장을 평가하거나 국제 비교를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GDP 계산 방법
GDP는 세 가지 주요 접근법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해야 하지만, 서로 다른 관점에서 경제활동을 측정합니다.
1. 생산 접근법 (Product Approach)
- 각 산업 또는 부문의 총생산액에서 중간 투입 비용(중간재)을 차감하고 부가가치(Added Value)를 합산한 값입니다.
2. 지출 접근법 (Expenditure Approach)
- 일정 기간 동안 산출된 최종재와 서비스에 대한 총지출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3. 소득 접근법 (Income Approach)
- 생산 과정에서 창출된 모든 소득(임금, 이자, 이윤 등)의 합계로 GDP를 계산합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
• 명목 GDP (Nominal GDP): 해당 연도의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된 GDP로, 물가 변동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 실질 GDP (Real GDP): 기준 연도의 가격(고정 가격)을 사용해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GDP로, 경제 성장률 분석에 유용합니다.
GDP의 한계
- 비시장 활동 제외: 가정 내 노동, 자원봉사 등은 포함되지 않음.
- 분배와 빈부 격차 반영 부족: GDP는 총량 지표로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지 않음.
- 환경 및 지속 가능성 미반영: 경제 활동으로 인한 환경 파괴나 자원 고갈은 고려하지 않음.